호주에서 주택 구입에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면 좋다.
☑ 1970년 이후에 신축된 건물을 선택하여 납중독(lead poisoning)의 위험으로부터 피한다.
1970년 이전에 축조된 주택 또는 구조물에 칠한 페인트에는 납(lead)이 함유되어 있고 최근에는 그 위에 덧칠하였다. 남이 함유된 페인트는 대부분이 창문들, 출입문, 벽체 바닥부분의 skirt 판, 부엌과 목욕탕 벽장, 외벽, 지붕의 물받이(gutter), 금속 표면, 띠벽(fascia), 내벽과 천정 등에 에나멜(enamel)과 함께 칠해졌으며 이 페인트가 오래되어 가루로 부스러지거나 벗겨질 때, 그리고 인위적으로 제거할 때 작업자, 거주자 그리고 제거작업 중 먼지가 날 경우 이웃에게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축적이 되며 처리되지 않은 납은 인체와 애완동물에게 치명적이다.
#납중독의 증상#
경 증: 식욕 감퇴, 메스꺼움, 만성피로, 과민증 또는 두통, 근육 무력증
중 증: 위경련 또는 구토증, 혼란, 인사불성 또는 졸도, 마비
☑ 석면(asbestos)이 함유된 건축자재로 지은 건축물은 건강상의 위험과 재정적인 손실에 직면하게 된다.
석면은 194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건축자재 생산에 이용되었다. 주로 시멘트와 혼합하여 fibro로 알려진 석면 단열재, 방음제 골 지붕재, 평면 벽재 등 가루로 부서지기 쉬운(friable) 건축자재를 생산하여 이용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오래된 fibro 주택들이 건강에 위험한 골칫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의료 전문가들은 fibro 주택이라도 원래대로 유지하면 위험하지 않다고 하지만 철거를 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는 그 가루가 공기 중으로 흩어져 거주자 및 이웃이 호흡기로 들여 마시게 된다. 석면에 노출되면 호흡기를 손상하여 20-40년 후에 석면침착증(asbestosis), 폐암(lung cancer), 간피류(mesothelioma) 등의 난치 또는 불치의 증상이 나타난다. 어린 자녀를 부양하는 부모는 필히 검토해야 할 사항이다.
석면에 관한 법률(Workplace Health and Safety Act 1995)에 의하면 주택 소유자는 석면을 함유한 건축자재를 손수 제거하지 못하며 자격을 가진 전문가에 의뢰하여 제거해야 한다.
퀸즐랜드 주에는 석면을 사용한 주택이 대부분의 fibro 주택이며 fibro 지붕, fibro 벽체와 바닥에서 발견되고, 오래된 벽돌주택에서는 바닥과 부엌 및 목욕실에서 발견된다.
☑ 고압선이나 휴대폰(Mobile phone) 중계시설을 피한다.
이른 바 현명한 탈출(Wise escape)이라는 표현으로 이들 시설물들을 피하여 주택을 장만하도록 한다. 각종 조사와 연구에 의하면 이들 시설물이 발사하는 전자파가 건강에 해롭다고 하며, 암(Cancer)이나 백혈병(leukaemia)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최소 반경 2km이내에 이런 시설물들이 없어야 한다고 한다.
☑ 공립 공원이나 골프장 등 살충제, 제초제, 소독제, 살균제, 항바이러스제 등을 많이 사용하는 주변의 주택은 View는 좋겠으나 유독한 Chemical에 계속 노출되어 있다.
☑ 매립한 주택지는 건물의 안정성이 약하고 심한 경우 매립한 흙에 섞여 있을 수 있는 산업폐기물질로 주거환경에 적합지 못한 시행착오의 경우도 있었다.
☑ 상수도(Town water)가 없거나 하수시설(Sewer pipe)이 없으면 곤란함에 직면할 수 있다.
Town Water를 쓸 수 없어 빗물을 식용수로 사용하는 경우 가뭄에 대처하는데 곤란을 겪게 되고, 하수도가 없어 자체 정화시설(Septic tank)를 설치한 경우 그 유지 관리에 따른 노력과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다 시 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받아야만 한다.
☑ 임대용 집합주택이 많은 지역은 안정되어 있지 않고 발전 기능성도 희박하다.
☑ 반드시 자동자 등 운송수단의 출입에 불편이 없어야 좋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